□ 여론 조사 결과, 학부모의 86.4%, 교원의 69.2%(교장・교감은 87.2%, 일반교사는 64.4%)가 교원능력개발평가제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작년 3월에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보다 학부모는 10.1%p, 교원은 6.2%p 높게 나타났다.
◦ 학부모 찬성율이 높은 시・도는 전남(91.8%)>충북(90.5%)>인천(89.9%), 낮은 시・도는 강원(80.0%)<충남(81.6%)<대전(82.6%) 순으로,
◦ 교원 찬성율이 높은 시・도는 부산(75.5%)>울산(75.3%)>경북(73.1%), 낮은 시・도는 전남(58.7%)<전북(59.0%)<광주(63.1%) 순으로 조사되어,
◦ 특히, 전남의 경우 학부모와 교원 간 평가제 도입에 대한 견해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실시에 따른 교육만족도 제고 효과에 대하여는 학부모의 85.6%, 교원의 64.7%(교장・교감은 85.6%, 일반교사는 59.2%)가 ‘효과있을 것’으로 응답하여,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실시가 학생・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응답하였다.
□ 학부모와 교원간 다소 의견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항목으로는
◦ 작년 7월, 올해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전면시행하겠다는 교과부 장관의 발표에 대한 의견(학부모 77.0%, 교원 40.1% 찬성)과 법률의 국회 통과가 지연되는 경우, 시・도별로 시행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대한 의견(학부모 76.3%, 교원 41.3% 찬성)이 있었으며,
◦ 평가결과를 인사・보수・연수부여 등에 활용하는 것에 대하여 학부모는 각각 79.3%, 70.2%, 72.2%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원의 경우 각각 30.2%, 33.2%, 45.1%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편,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시행에 따른 사교육비 절감 효과에 대하여는 학부모의 55.1%가 ‘효과있을 것’으로 응답한 반면, 교원의 경우는 21.6%에 그쳤다.
□ 특이한 점은 조사대상 중 그간 시범운영을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제를 먼저 경험한 학교의 학부모와 교원의 경우,
◦ 도입 필요성에 대하여 학부모는 88.5%, 교원은 76.6%가 찬성하고 있어, 경험하지 않은 학부모(83.6%)와 교원(64.7%)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 교육만족도 제고 효과에 있어서도 경험한 학부모의 86.6%, 교원의 71.2%가 ‘효과있을 것’으로 응답하여, 경험하지 않은 학부모(84.2%)와 교원(60.8%)보다 높게 나타나는 등
◦ 교원평가제 도입 필요성 및 그 효과에 대하여, 시범운영을 통해 먼저 경험해 본 학부모와 교원의 경우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 아울러, 교육과학기술부는 2010년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시・도교육청 자율시행방안 등의 논의를 위해 정책자문위원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붙임: 여론조사 결과 보고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