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ocument
|
|
 |
 |
2009 장애인 통계 |
 |
 |
EDI |
 |
 |
|
 |
 |
사회통합연구센터 / 노동 |
 |
 |
참고자료 |
 |
 |
정책보고서 |
 |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
 |
2009/12/30 |
 |
 |
< 제1장 > 개요
제1절 작성개요
제2절 2009 장애인 통계 체계
< 제2장 > 국내 장애인 통계-고용
제1절 고용현황
제2절 취업자 특성
제3절 미취업자 특성
제4절 사업체 특성
제5절 고용서비스
< 제3장 > 국내 장애인 통계-고용 이외
제1절 장애인구
제2절 장애 특성
제3절 경제상태
제4절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
제5절 교육
제6절 복지
< 제4장 > 해외 장애인 통계
제1절 OECD
제2절 독일
제3절 미국
제4절 영국
제5절 일본
제6절 프랑스 |
|
 |
 |
■ 인구부문
- 2008년 12월 현재 등록장애인은 2,247천명으로 2000년을 기준으로 연평균 11.2%씩 증가함. 전체인구 대비 등록장애인 비율도 2000년 2.0%에서 2008년 4.5%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가족부문
- 장애인가구는 2인 가구가 전체의 약 29.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경우는 4인가구가 전체의 27.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
■ 소득부문
- 장애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005년 1,572천원에서 2008년 1,819천원으로 증가하였으나, 전체 가구 월평균 소득의 53.4% 수준으로 명목소득의 격차는 개선되지 않음
■ 노동부문
- 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005년 38.2%에서 2008년 41.1%, 전체인구의 경우는 2005년 62.0%에서 2008년 61.5%로 나타남. 2008년의 성별에 따른 경제활동참가율을 비교해보면, 남성장애인의 경우는 52.2%로 전체 남성의 73.6%보다 낮은 수준이고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은 25.5%로 전체 여성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 교육부문
- 25세 이상 장애인의 학력수준을 살펴보면 고졸 이상의 비율이 1995년 20.6%, 2000년 32.0%, 2005년 36.1%로 매년 증가하고 있어 장애인의 학력이 나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러나 성별로 살펴보면 2005년 남성의 고졸 이상 비율은 45.7%인데 반해 여성은 22.0%로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음
■ 보건부문
- 개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건강상태를 비교해 보면, 장애인의 경우는 건강한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22.4%이며 건강이 나쁘다고 응답한 비율은 51.9%인 반면, 전체인구는 건강한 편이 51.5%, 건강이 나쁜 편이 13.9%로 나타나 대조적인 모습을 보임
■ 주거부문
- 주택소유형태를 보면, 장애인가구의 경우 자가 비율이 2000년 64.3%와 2005년 64.0% 로 전체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음. 2000년과 2005년의 차이를 보면 장애인 가구의 전세비율이 2000년 19.3%에서 2005년 13.6%로 감소한 반면, 월세는 11.4%에서 17.6%로 증가함. 전체가구의 경우도 유사한 경향을 보임
■ 정보와 통신부문
- 2008년 말 현재 만 7~69세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률은 51.8%이며, 전체인구의 인터넷 이용률 77.1%보다 25.3%p 낮은 수준임. 그러나 그 격차는 매년 줄어들고 있음
■ 복지부문
- 공적연금 가입률을 보면, 장애인의 경우는 2005년 21.7%에서 2008년 36.7%로, 전체인구의 경우는 2005년 80.4%에서 2007년 87.7%로 증가함
■ 문화와 여가부문
- 여가활용방법의 경우, 장애인과 전체인구 모두 TV시청의 비율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사회참여부문
- 국회의원 총선거 투표율의 경우, 전체 인구 투표율은 2004년 60.6%에서 2008년 46.1%로 14.5%p 감소한 반면, 장애인은 각각 76.5%에서 77.0%로 0.5%p 증가함. 전체인구와 장애인인구 투표율의 격차는 2004년 15.9%p에서 2008년 30.9%p로 더 크게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
 |
 |
edi.kead.or.kr/BoardType01.do?bid=1&mid=21&cmd=_view&idx=1796 |
 |
 |
 |
 |
 |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
 |
|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