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ocument
|
|
 |
 |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2006) 결과 |
 |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
 |
|
 |
 |
사회통합연구센터 / 인적자원개발 |
 |
 |
참고자료 |
 |
 |
정책보고서 |
 |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
 |
2007/12/04 |
 |
 |
○ PISA 2006 결과,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고등학교 1학년)의 읽기 능력은 OECD 국가 중 1위, 수학은 1~2위, 과학은 5~9위 OECD에서는 동 연구가 표본조사임을 감안, 모집단의 순위를 95% 신뢰도 수준에서 범위로 제공로서 OECD 회원국 중에서 높은 성취수준을 보인 나라로 확인되었다.
○ 우리나라 최상위권(상위 5%)에 속하는 학생의 순위도 읽기 1위, 수학 2위로 나타나, 2001년 PISA PLUS보다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 최상위권 학생의 읽기 추이 : PISA PLUS(21위)→PISA 2003(7위)→PISA 2006(1위)
※ 최상위권 학생의 수학 추이 : PISA PLUS(6위)→PISA 2003(3위)→PISA 2006(2위)
○ 이러한 점은 읽기와 수학의 소양 수준 추이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고 있다.
※ 최상위 수준(5수준) 학생의 읽기 추이 : PISA PLUS(21위)→PISA 2003(7위)→PISA 2006(1위)
※ 최상위 수준(6수준) 학생의 수학 추이 : PISA 2003(4위)→PISA 2006(2위)
○ 다만, 과학은 PISA 2003에 비해 하락하였는바, 향후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 과학 순위 : PISA PLUS(1위), PISA 2003(4위)
○ 과학에 대한 태도에 있어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일반적인 가치”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점에 대해서도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이번 PISA 2006 결과는 OECD가 총 57개국(회원국 30개국 포함) 약 40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결과로서, OECD는 ´07년 12월 4일 10:00(Paris 시각)에 PISA 2006 결과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
|
 |
 |
www.kice.re.kr/kice/article/news/bidinfo/view?searchtype=init&articleid=64819 |
 |
 |
 |
 |
 |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
 |
|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