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게시물 10건
새로운 코리아구상 <Ⅱ>
*목차 추천사_이재정발간사_박순성I. 정치·통일 ------------------------------------11. 국내정치2. 남북관계3. 남북경협II. 외교·안보 ------------------------------------1311. 한반도와 미국2. 한반도와 일본3. 한반도와 중국4. 한반도평화체제5. 북핵문제와 6자회담6. 동아시아공동체III. 경제·사회 ------------------------------------ 3831. 참여정부 경제 및 사회정책2. MB노믹스와 사회정책 저자
2009.06.30
[코리아연구원총서5] 한중FTA와 동아시아지역주의
서론 | 한중 FTA를 어떻게 볼 것인가 5동아시아 지역주의 부상과 중국의 FTA 전략 151.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부상 152. 중국의 동아시아 지역주의 전략 203.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주의 전략과 중국의 대응 274. 중국의 FTA 전략 365. 지역주의 경쟁과 중국 47중국의 FTA-인식, 목적, 전략- 531. 한중 FTA의 논의 과정과 쟁점 532. 중국의 한반도 인식과 FTA 593. 한중 FTA에 대한 중국의 목적과 의도
2009.02.10
[코리아연구원총서4]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와 보수주의 위기의 뿌리
-책을 내면서-서론을 대신하여1부: 문제의 뿌리1. 문제의식: 무주 면사무소가 진보와 보수에게 주는 교훈2. 저수지가 말라붙은 민주주의와 보수주의의 필연적 타락_서구의 경험3. 한국의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가 낳은 괴물-부자 민중 선동가4. 한국 천민 보수주의의 얼리 덕과 공화주의의 역설적 등장2부: 민주공화국으로의 방향5. 비민주적 대의론의 혁신6. 공화주의적 포퓰리
2008.10.15
[코리아연구원총서3] 개혁 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
책을 내면서|중국의 객관적 실체를 찾아서•15제1장 서론•15연구 목적과 의의_15연구 대상_20연구 방법_27이 책의 구성_39제2장 개혁․개방기 중국 정치 엘리트의 범주별 특성•41성별 특성_41출신 지역 특성_55학력 및 전공 특성_59민족 특성_63주요 경력 특성_66기타 특성_66소결: 인구통계학적 범주들을 통해 본 개혁․개방기의 중국 정치 엘리트_71제3장 개혁․개방기 중국
2007.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