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ocument
|
|
 |
 |
191개 민간기업, 장애인 단 한명도 고용 안해 |
 |
 |
노동부 |
 |
 |
사회통합연구센터 / 노동 |
 |
 |
참고자료 |
 |
 |
정책보고서 |
 |
 |
노동부 |
 |
 |
2006/09/22 |
 |
 |
“191개 민간기업, 장애인 단 한명도 고용 안해 ”
- 노동부,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장애인 미고용 민간기업
191개사 명단 공표 -
노동부는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인 민간기업으로서 장애인을 한 명도 고용하지 않은 191개사의 명단을 공표하였다.
○ 장애인 미고용 민간기업 수(‘06. 7월말 기준)는 지난해 214개사(‘05. 6월말 기준)보다 23개사가 적은 것으로 해마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50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업」에 의거 2% 이상의 장애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하여야 하며 미 이행 시 부담금이 부과됨
이번에 공표된 191개 장애인 미고용 사업체의 특성을 보면
○ 우선 사업체 규모별로는 상시근로자 300인~500인 미만 131개사, 500~700인 미만 29개사, 700~1000인 미만 21개사, 1000인 이상 규모의 기업이 10개사로 나타났다.
○ 사업체의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30%(58개사)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제조업 20%(38개사), 사업서비스업 16%(31개사)로 그 뒤를 이었다.
- 최근 각종 보조공학기기의 발달로 장애인이 근무하기 어려운 영역이 점차 축소되고 있음에도 일부 사업주는 여전히 장애인고용에 대한 강한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또한 지역별로는 서울 125개사(65.45%), 경기 27개사(14.14%)로 장애인미고용 사업체 대부분이 서울, 경기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고용사업체 중에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매년 4월 공표하는 59개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계열사에 속하는
○ (주)삼성경제연구소, 와이더댄(주), (주)엘지상사, 롯데정보통신(주), (주)신세계인터내셔날, 씨제이엠디원(주), 한일약품공업(주), 가온전선(주), (주)웰푸드, 코오롱유화(주), (주)아이콘트롤스, (주)쌍방울, (주)호텔농심, (주)네티션닷컴, (주)휘닉스파크 같은 국내 유명 기업들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 이러한 기업들은 장애인고용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노동부는 이번에 발표된 기업체 같이 장애인고용의무 이행에 있어 현저히 저조한 민간기업의 장애인고용 확대를 위해,
○ “장애인고용률 1%미만 기업 줄이기 운동”, “장애인고용증진협약”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다.
○ 특히 기업의 자발적 장애인고용의무 이행을 위해 개별기업별 직무분석·취업알선·맞춤훈련·보조공학기기지원 등 기업지원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김태홍 노동부 고용평등심의관은 “9월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 정한 장애인고용촉진 강조기간”이기도 하다면서,
○ “기업이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보다 열린 마음으로 장애인에게 일할 기회를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기업들의 장애인고용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촉구하였다. |
|
 |
 |
epic.kdi.re.kr/epic_attach/2006/R0609419.hwp |
 |
 |
 |
 |
 |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
 |
|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