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New Document

여성의 경력단절과 재취업: 원인과 진단
여성부 인력개발기획과
moge_091126.zip
사회통합연구센터 / 노동
참고자료
기타
여성부
2009/11/26
■ 좌장 : 김태홍(한국여성정책연구원 일∙가족 연구실장)

■ 주제1.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성공요인 및 경로분석
- 발제: 오은진(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토론: 유혜림(고양여성인력개발센터장), 조신숙(여성부 인력개발기획과장)

■ 주제2. 여성의 생애단계별 경력단절 경험과 재취업
- 발제: 민현주(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토론: 민무숙(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경윤(노동부 여성고용과장)

■ 주제3.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과 기업의 인사관리관행
- 발제: 임희정(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토론: 손훈정(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 노사정책팀 과장), 장국찬(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 능력개발실장)
■ 경력단절여성을 채용하는 기업은‘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
- 경력단절 사유가 육아인 여성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복귀확률 36%높고,
- 경력단절기간이 짧을수록, 前직장규모가 클수록 여성의 재취업확률 높아

* 이번 세미나에서는 여성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하여 진행 중인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실태조사” 결과의 일부를 발췌하여 논의한다.

□ 제1주제인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성공요인 및 경로분석”(오은진 박사)연구결과에 따르면,

ㅇ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 결정 요인은 과거 경력단절 이전에 종사했던 직장의 규모와 임금, 그리고 취업을 위한 적극적인 구직활동 및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ㅇ 또한, 여성의 첫 직장이 중소기업 이상이고 고임금일수록 재취업 성공확률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특히 대기업(1,000인)에 근무했던 여성은 10인 미만의 소기업에 근무했던 여성보다 1.6배 재취업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ㅇ 경력단절 이전의 고용형태는 정규직으로 재취업하는데 결정요인으로 나타나는데,

- 경력단절 시점에 정규직이었던 여성은 비정규직 여성에 비해 약 3.7배 이상 정규직으로 재취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단절기간이 짧을수록 정규직으로 재취업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ㅇ 또한 경력단절 여성 중 구직활동을 한 경우 재취업할 확률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훈련을 받은 경우는 재취업 성공확률이 38%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ㅇ 이 결과는 재취업 여성에게 있어서 첫 직장의 중요성과 함께 경력단절 기간의 최소화, 적극적인 구직활동과 직업훈련이 노동시장 복귀 시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로 이동할 수 있는 주요 요인임을 말해주고 있다.

□ 제 2주제인 “여성의 생애단계별 경력단절 경험과 재취업”(민현주 연구위원)연구결과에 따르면

ㅇ 여성의 경력단절 사유가 자녀양육 때문인 경우, 사회적 차별과 불만족스러운 근로조건 때문에 퇴직한 여성들에 비해 3년 이내에 직장으로 복귀할 확률이 3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ㅇ 이 결과는 육아·가사 사유로 경력이 단절되는 여성들은 적절한 보육정책의 뒷받침과 자녀양육의 지원이 있다면 경력단절을 하지 않거나 보다 빨리 노동시장으로 재복귀할 개연성이 높은 집단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제 3주제인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과 기업의 인사관리관행”(임희정 연구위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ㅇ 경력단절 여성을 고용하는 있는 기업(389개)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소는 "전문지식이나 기술여부"(35.7%)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철저한 직업의식"(24.2%), "장기근속 가능여부"(19.5%)순으로 나타났다.

ㅇ 기업에서는 경력단절 여성이 단절기간의 공백을 상쇄할 수 있는 전문성과 경력을 가지고 있다면 경력단절 자체에는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 여성부 정봉협 여성정책국장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 결정요인 및 직업이동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ㅇ “여성 경제활동참여율 저하의 최대 원인인 육아·가사 등의 사유로 경력이 단절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대상별로 차별화된 정책을 개발하는 데 객관적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고용보험적용사업장에 근무하고 있는 재취업 여성 2,000명과, 직업훈련기관을 통한 재취업 여성 700명을 대상으로한 실태조사 결과 일부를 분석한 것으로,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 실태조사” 최종 연구결과는 12월말 발표될 계획이다.
www.moge.go.kr/korea/view/news/news03_01.jsp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과 북한의 주체공업 추구
코리아연구원과 캄보디아 NICC 업무협약 체결
[유니칼라] 대립과 갈등의 시대 유니칼라가 가야할 길은?
서울의 일상에서 평화통일을 돌아보다!
서울-강화교동에서 평화 · 통일을 발견하다!
판문점선언의 시대정신 구현을 위한 시민강좌
판문점선언은 폭파되지 않았다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1박 2일 프로그램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북핵문제의 교착상태 진단과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전작권 환수,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 환경 조성이 관건
남북경협과 한반도 평화
유럽통합과 독일통일 연수에 초청합니다.
남북관계 개선 방안
평화와 번영의 북중러 삼각협력과 신북방정책: 남북관계에 따른 단계별 접근 방법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코리아연구원 : KNSI ) :::
개인정보보호정책 | 전자우편주소 무단수집거부 | 관리자에게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4길 20 맨하탄21오피스텔 608호   전화 : 02-733-3348   팩스 : 02-733-3358
Copyright 2005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