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New Document

고령화와 연령대별 고용률 변화 추이 및 정책 시사점
장인성
nabo_091030_O.E.pdf
사회통합연구센터 / 고령화
참고자료
정책보고서
국회예산정책처
2009/10/30
Ⅰ. 서 론

Ⅱ.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와 취업인구의 생산성 감소
1.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2. 고용률과 취업자수의 추이
3. 연령별 인구와 연령별 취업자

Ⅲ. 연령대별 고용률 국제 비교 및 고용률 추이
1. 연령대별 고용률 국제 비교
2. 연령대별 고용률 추이
3. 고용률의 중장기 전망

IV. 정책적 시사점
1. 양극화 해소를 통한 청년 고용률 제고
2. 일과 가정 양립 정책을 통한 여성 고용률과 출산율 제고
3. 적극적 직업훈련을 통한 고령층 생산성 제고
-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 및 고령취업자 증가로 2010년대 평균 고용률은 58%에 머물 가능성


❑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 및 고령취업자의 증가로 15세 이상 인구의 2010년대 평균 고용률은 58%대에서 정체하며 이후 점차 하락하여 2040년대에는 54%에 머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함

◦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고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고령취업자 비중이 커짐
◦ 선진국에 비해 청년층 및 30대 여성층에서는 특히 고용률이 낮음

❑ 임금 양극화 완화를 통한 청년 고용률 제고, 일과 가정 양립 정책을 통한 여성 고용률 및 출산율의 제고와 적극적 직업훈련을 통한 고령층 생산성 제고가 필요

◦ 임금 및 고용안정성의 양극화 현상 완화를 통해 청년고용률을 제고하고 출산 및 육아 친화적인 직장환경 조성, 사교육비 등 양육비 부담 완화를 통해 30대 여성의 고용률 및 출산율을 제고하는 한편, 근로의욕이 강한 고령 취업자의 생산성을 제고시켜 성장잠재력 하락에 대처할 필요

❑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 정점에 달한 이후 10년간 연평균 -0.9%의 빠른 속도로 감소하기 시작할 뿐만 아니라 그 감소속도가 전체인구의 감소속도인 -0.05%보다 더 빠를 것으로 예상됨

❑ 생산성이 높은 30대~50대의 고용률은 1980년대 이후부터 70%대에서 정체하거나 다소 감소해온 반면 65세 이상의 고용률은 장기적 증가추세를 유지하고 있음

◦ 우리나라는 은퇴 연령에 가까워질수록 고용률이 급격히 떨어지는 선진국에 비해 높은 고령 고용률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임

❑ 35~49세 사이 남성 고용률은 91~92%로서 선진국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나 여성 고용률은 고령층을 제외하면 상당히 낮으며 특히 30대 여성의 고용률이 가장 낮아 전체적 여성 고용률 곡선은 M자 형태를 띰

❑ 연령대별 고용률이 과거 30년간의 추세를 유지할 경우 생산가능인구 고용률은 2050년까지 현재의 수준인 63%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15세 이상 고용률은 2008년의 59%에서 2050년 54%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측됨

❑ 성장잠재력 저하를 막기 위해 일과 가정 병행정책의 강화를 통해 남성에 비해 현저히 낮은 30대 여성의 고용률 및 출산율 제고를 도모해야 함

◦ 이를 위해 파트타임 일자리 등 근무형태의 다양화가 필요하고 고용형태간의 차별이 없어야 하며, 불필요한 연장근무의 관성 등의 적극적 개선을 통해 젊은 부부가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여야 함
◦ 입시제도 개선 등을 통해 사교육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양육비 부담의 경감이 필요함

❑ 취업준비인구의 증가와 청년 고용률 하락의 기저에는 임금 및 고용안정성의 양극화가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중장기적으로 양극화 해소에 힘쓸 필요

◦ 청년들의 눈높이가 높은 것이 취업의 주된 걸림돌이라는 인식은 정확한 상황판단이라 보기 어려우며 개별 경제 주체들이 스스로 최적의 선택을 한다는 경제 원리에도 부합하지 않는 시각임
◦ 소득수준의 향상, 높은 대학 진학률 등으로 인해 취업준비자간의 인력수준의 격차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데 반해 임금 격차는 확대되는 등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청년 고용률 하락의 근본 원인 가운데 하나
◦ 임금 및 고용안정성 등의 양극화로 인해 청년기의 선택이 평생의 기대소득 및 고용안정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현재의 구조하에서 단기적인 손실을 무릅쓰고 높은 임금 혹은 고용안정성을 제공하는 직장에 진입하려는 선택은 개인으로서는 합리적일 수 있음

❑ 취업준비인구의 증가로 인한 고용률 하락을 막기 위해 청년 인턴 제도 등의 내실화를 통해 졸업 이후의 사회 진입 방식의 다양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인력 채용시 시험 위주 선발 방식은 시험준비인구가 늘어날수록 인력의 기회비용 낭비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커지게 됨

❑ 선진국과 달리 노후대비 부족으로 인해 높은 근로의욕을 가진 고령자들이 근로빈곤층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고령자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임

◦ 현재 희망근로와 공공근로 등 고령층에게 주로 제공되는 일자리는 지속성이 부족하고 최저임금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단순근로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생산성이 낮을뿐더러 고령빈곤 탈출을 돕는데도 한계가 있음

❑ 고령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평생교육시스템의 확대를 통해 산업수요에 맞는 직업훈련을 제공하는 한편 선진국에 비해 고용비중이 절반에 불과한 사회서비스업 분야의 참여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

* 첨부: 「고령화와 연령대별 고용률 변화 추이 및 정책 시사점」 보고서 1부
또는 국회예산정책처 홈페이지(http://www.nabo.go.kr) 참조
www.nabo.go.kr/korea/view/new_01_report/sub_01_01.jsp?funcSUB=view&bid=19&arg_cid1=0&arg_cid2=0&arg_...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과 북한의 주체공업 추구
코리아연구원과 캄보디아 NICC 업무협약 체결
[유니칼라] 대립과 갈등의 시대 유니칼라가 가야할 길은?
서울의 일상에서 평화통일을 돌아보다!
서울-강화교동에서 평화 · 통일을 발견하다!
판문점선언의 시대정신 구현을 위한 시민강좌
판문점선언은 폭파되지 않았다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1박 2일 프로그램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북핵문제의 교착상태 진단과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전작권 환수,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 환경 조성이 관건
남북경협과 한반도 평화
유럽통합과 독일통일 연수에 초청합니다.
남북관계 개선 방안
평화와 번영의 북중러 삼각협력과 신북방정책: 남북관계에 따른 단계별 접근 방법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코리아연구원 : KNSI ) :::
개인정보보호정책 | 전자우편주소 무단수집거부 | 관리자에게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4길 20 맨하탄21오피스텔 608호   전화 : 02-733-3348   팩스 : 02-733-3358
Copyright 2005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