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북한경제연구부가 주관하는 2016년 상반기 북한경제동향 분석 작업은 조금은
특별한 환경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올해 실시된 대북제재에 기인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대다수 북한경제 연구자들은 올해의 대북제재로 인해 향후 북한경제가 어떻게 변모해 갈지에 대해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KDI 북한경제연구부를 포함한 국책연구기관들에서 북한경제를 관찰하는 여러 연구자들은 서로가 이번 대북제재의 실질적 효과 및 이로 인한 북한경제의 변화 양상들을 분야별로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토론의 과정은 현실적으로 북한의 경제동향을 분석하는 작업과 매우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KDI 북한경제연구부에서는 본호에 수록되는 2016년 상반기 북한경제동향에 대한 분석 논문들의 작성을 토론에 참여한 연구자들에게 의뢰하기로 결정하였다. 물론 모든 연구자들이 이러한 분석 논문의 작성에 참여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본호의 논문들은 이제까지 동일한 성격으로 KDI 북한경제리뷰에 의해 출판된 여러 논문들과 저자 및 관련 형식 등에 있어 약간의 차별성을 갖게 되었음을 밝힌다.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