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ocument
|
|
 |
환율전쟁과 글로벌 금융안전망 |
 |
 |
경실련 |
 |
 |
경제통상연구센터 / 금융 |
 |
 |
참고자료 |
 |
 |
정책보고서 |
 |
 |
경실련 |
 |
 |
2010/11/09 |
 |
 |
지금까지 G20에서 논의되었던 임시 처방식의 각국 정상간 합의는 환율갈등이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었다. 특히 다른 나라에는 희생과 양보를 요구하면서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는 근린궁핍화 정책도 마다하지 않는 미국은 자신들의 행동을 반성할 필요성이 높다. 많은 국가의 정상들이 이번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미국을 성토할 것이라는 언론과 전문가들의 예측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은 지금까지 세계 기축통화로 누려왔던 독점적 지위를 스스로 내려놓을 때가 되었다. 일국 중심의 통화체계에서 벗어나, 유로화에 이어 아시아 단일통화, GCC 단일통화, 남미지역 단일통화 등 지역별로 다자화된 통화체계 구축을 통해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조성하고, 세계 단일통화체제로 나아갈 수 있는 시발점을 만드는 논의가 서울 정상회의에서 이루어지길 바란다.
|
|
 |
 |
금융세계화와 미국, 백창재, 2006
달러 위기론과 국제통화질서의 현 주소, 유승경, 2009
중국 위안화의 기축통화 가능성, 박번순, 2009
최근의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기축통화논쟁과 동아시아의 선택, 오정근, 2009
1985년 플라자 합의의 이행과정과 시사점, 한국은행, 2010
시스템 위험 관리를 위한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최공필, 2010 |
|
 |
 |
www.ccej.or.kr/ISSUE/collect_view.html?Idx=10297 |
 |
 |
 |
 |
 |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
 |
|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