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New Document

핵 불능화는 파란불, 비핵화는 불확실
김태우
정치외교연구센터 / 북한정치와 대외정책
참고자료
기사
경향신문
2007/09/25
.....북한의 핵 불능화 행보를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과정으로 단언하는 것은 시기상조다. 북한은 국제적 고립과 경제난을 무릅쓰고 반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핵을 개발해왔다. 그만큼 체제와 정권을 수호하는 수단으로서 핵무기를 중시해왔다. 북한의 지배세력에는 “체제를 지켜내지 못하면 죽음에 직면할 수 있다”는 강박관념이 있다. 이런 북한이 완전한 핵 포기를 결심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심중에 두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장애물이 기다리고 있다. ‘핵 불능화’의 정의와 방법 그리고 절차에 대한 상세 합의도 필요하고, ‘신고와 검증’ 절차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즉 북한이 국제사회가 우려하는 모든 핵 시설과 핵 프로그램을 성실히 신고하여 국제원자력기구(IAEA)로 하여금 폐쇄·봉인·불능화를 검증하도록 할 것인가 하는 문제다. 현재 북한은 5㎿ 원자로, 재처리 시설, 핵연료봉제조공장 등을 불능화 대상으로 거론하고 있지만, 우리로서는 농축시설의 존재를 확인하는 일이나 핵실험 시설을 불능화하는 것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그 때문에 ‘연말 내 핵 불능화 약속’을 “연말 내에 모든 핵 시설의 불능화 및 확인·검증을 마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곤란하다. 무엇보다 북한이 원하는 것과 미국이 주려는 것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이견차나 시차가 최대의 장애물일 것이다......
newsmaker.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3&artid=15528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과 북한의 주체공업 추구
코리아연구원과 캄보디아 NICC 업무협약 체결
[유니칼라] 대립과 갈등의 시대 유니칼라가 가야할 길은?
서울의 일상에서 평화통일을 돌아보다!
서울-강화교동에서 평화 · 통일을 발견하다!
판문점선언의 시대정신 구현을 위한 시민강좌
판문점선언은 폭파되지 않았다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1박 2일 프로그램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북핵문제의 교착상태 진단과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전작권 환수,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 환경 조성이 관건
남북경협과 한반도 평화
유럽통합과 독일통일 연수에 초청합니다.
남북관계 개선 방안
평화와 번영의 북중러 삼각협력과 신북방정책: 남북관계에 따른 단계별 접근 방법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코리아연구원 : KNSI ) :::
개인정보보호정책 | 전자우편주소 무단수집거부 | 관리자에게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4길 20 맨하탄21오피스텔 608호   전화 : 02-733-3348   팩스 : 02-733-3358
Copyright 2005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