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울산북구 국회의원 재보선에 출마한 민주노동당 김창현 후보와 진보신당 조승수 후보의 단일화 협의가 결국 무산됐다. 이와 같은 불행한 결과는 애초 후보등록 시점 이전까지도 단일화에 이르지 못한 진보 양당의 책임이 무엇보다 크다. 만일 진보 양당이 끝까지 정치적 결단을 내리지 못한 채 투표일에 다다를 경우, 소중하게 쌓아왔던 진보정치․노동자정치의 성과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것이다.
2. 진보양당은 대중의 정서와 이번 선거의 정세적 중요성을 무시한 채, 오직 양당의 이해관계에 따라 총투표-여론조사 등 단일화 방법론에 대한 갑론을박을 오랜 시간에 걸쳐 벌여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리멸렬한 단일화 협상 속에 현장 노동자들의 진보 양당과 정치에 대한 불신도 함께 커졌다. 결국 양당이 모두 후보등록을 하고, 분당사태부터 불거진 현장의 진보정치 불신이 극도로 팽배한 상황에서 민주노총 울산본부 운영위원회의 ‘총투표 불가’ 결정은 당연한 귀결이다.
3. 애초 울산북구 보궐선거를 둘러싼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후보단일화의 본질은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문제가 아닌 ‘정치적 결단’의 문제였다. 양당은 지금이라도 모든 기득권을 버리고, 진보정치의 발전과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실현을 위한 후보단일화에 합의해야 한다. 민주노총은 이미 수차례에 걸쳐 이번 보궐선거 후보단일화의 중요성을 강도 높게 언급해 왔다. 만일 단일화가 끝내 무산된다면, 이는 울산북구 보궐선거의 성패를 떠나 진보정치 전반에 대한 노동자 계급의 불신과 원망으로 이어질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현장에서는 이번 단일화 무산을 두고 ‘선거 거부’ 분위기마저 일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는 민주노총의 정치방침 역시 아무 의미가 없어질 수밖에 없다.
4. 민주노총은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정치적 결단과 조속한 후보단일화를 다시 한 번 촉구한다. 만일 양당이 계속해서 ‘후보단일화의 방법론’을 둘러싼 간격을 좁히지 못한 채 투표에 돌입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민주노총은 현장 조합원의 정치불신과 투표거부를 설득할 명분마저 잃게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