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ocument
|
|
 |
 |
APEC 한·미·일 삼자회담 브리핑 |
 |
 |
청와대 |
 |
 |
|
 |
 |
정치외교연구센터/동아시아공동체와 지역통합 |
 |
 |
참고자료 |
 |
 |
정책보고서 |
 |
 |
청와대 |
 |
 |
2006/11/18 |
 |
 |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한·미·일 삼자회담 『11/18』
○ 송민순 통일외교안보실장은 오늘(11월 18일) 오후 브리핑에서 다음과 같이 발표.
조금 전까지 한 40분간 한-미 일 3자 정상회담을 개최를 했다.
이것은 2002년 이후에 4년 만에 한-미-일 정상이 같이 한 자리에 모이는 그런 계기였다.
우선 이번 3자 정상회담을 가진 배경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미국이 동북아시아에서의 문제에 대해서 깊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그러한 의지의 표시가 같이 있고 또 최근에 여러 가지 변화된 상황에 있어서 한-미-일 3국이 특히 북한 핵문제를 두고 어떻게 건설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느냐, 하는 그러한 데에 초점을 맞추고 대화가 됐다.
대화는 먼저 미국 부시대통령, 그 다음에 노 대통령, 아베 일본총리, 이런 순서로 발언을 하게 되었고 오늘 회의에서 무슨 합의를 한 이런 것은 아니지만 3 정상이 이야기한 부분에 대해서 몇 가지 말씀을 드리겠다.
지금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어떤 무슨 언론 발표에 합의를 한 것은 아니고 있었던 사항을 중심으로 그냥 전개를 해서 말씀을 드리는 것이다.
우선 부시 대통령은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안보-협력 그리고 미국의 경제적 이런 데에 있어서 미국이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중요한 일원이고 역할을 해야 된다 하는 그러한 점을 강조를 하고 또 특히 미국 국민들에 대해서도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미국의 중요한 이익이 있다 하는 것을 보여 주는 그러한 본인의 의지가 그렇다는 것을 강조를 했고 노무현 대통령은 부시 대통령이 그리고 미국이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중요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는 그러한 관점은 높이 평가한다. 그러면서 노대통령은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미국이 동북아시아의 일원으로서 안보, 경제 이런 데에 대한 당사자적 시각에서 문제를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면서 한-미-일 이 이렇게 모였으니까 동북아시아의 미래를 앞으로 어떻게 설계해 나가는가,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갈등보다는 협력의 질서를 장기적으로 만들어 나가는데 있어서 많은 대화와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를 하고, 특히 유럽에 있어서 사례를 적시를 하면서 한-미-일 삼국이, 그리고 다른 역내 국가들이 장래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문제를 풀어나가고 설계를 해 나가도록 하면서 역내 국가들과는 물론이고 역외 적으로도 이러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특히 지난 9월 14일 한-미 정상회담 그리고 오늘 아침 정상회담을 통해서 미국은 그러한 비전을 가지고 동아시아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는데 대해서 신뢰를 가지고 있다 환영한다 하는 그런 이야기를 하면서 일본도 같은 방향에서 그러한 결단을 가지고 지역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이 좋겠다는 이야기를 했고, 아베 총리는 이 지역에 있어서 대표적인 민주국가인 일본, 한국, 미국 3자가 이런 자리에 모여서 지역 역내 문제를 토론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이 지역의 주변 문제에 대해서 공통의 인식을 가지고 지역안보 문제라든지 특히 북한 핵문제 이런데 대해서 공통의 인식을 가지고 앞으로 무엇을 할 것이냐를 논의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APEC 차원에서도 그런 협력을 하자, 이런 이야기가 있었다.
일본 총리는 일본이 안고 있는 인도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APEC 차원에서도 언급이 필요하다는 점을 이야기했다.
그리고 이 지역에 있어서 세 정상은 한-미-일 만의 협력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고 역내 다른 국가들이 같은 바람직한 정치-안보-경제 이런 질서와 같이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겠다는 점에 대해서 의견의 일치를 보고, 그리고 북한 핵문제에 대해서는 한-미-일 간의 협력뿐만 아니라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이 긴요하다는데 대해서도 인식을 같이 하고 앞으로 중국과도 북한 문제에 대해서 많은 조율을 해 나가겠다는 그러한 생각들을 나누었다.
그러한 점들이 오늘 정상회담에 있어서 중요한 논의사항 들이다. /끝/
2006년 11월 18일
청 와 대 대 변 인 실
|
|
 |
 |
www.cwd.go.kr/cwd/kr/archive/archive_view.php?meta_id=briefing&id=1c12df7fefe7aa7a6ad3369 |
 |
 |
 |
 |
 |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
 |
|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