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ocument
|
|
 |
 |
舊 캠프머서 환경조사 결과 |
 |
 |
국방부 |
 |
 |
|
 |
 |
정치외교연구센터 / 한반도와 미국 |
 |
 |
참고자료 |
 |
 |
정책보고서 |
 |
 |
국방부 |
 |
 |
2011/08/04 |
 |
 |
舊 캠프머서 환경조사 결과
2011-08-04
ㅇ 지난 8월 3일(수), 민·관·군 공동조사단은 5차 회의를 개최하여,지난 2달간 진행되었던 지하수 및 토양 시료 분석결과에 대해서 토의하고 향후 조사방향을 논의하였다.
◦ 토양시료 분석결과
∙ 퇴역미군의 증언과 과거 부대배치도, 지역주민 대상 증언청취 및 전기비저항탐사 등 물리탐사를 거쳐 주변과 다른 특성을 보이는 지역을 파악하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14개 지점에서 20개(고엽제 및 다이옥신 5개)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 서울대에서 수행한 환경보전법상 토양오염물질 21개 항목에 대한 검사결과 국방·군사시설에 적용되는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없었다.
ㅇ 다이옥신 분석결과
∙ 국가공인기관인 한국산업기술시험원에서 수행한 다이옥신 분석결과 다이옥신은 全시료에서 극미량이 검출되었다.
∙ 다이옥신은 0.304~0.986pg-TEQ/g(ppt, 1/1012) 농도로 검출되었는데, 이는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주거지역 기준인 1,000pg-TEQ/g의 1/1,000~1/3,000수준이고, 전국 토양 다이옥신 평균농도의 1/2~1/7 수준이다. 또한 고엽제에 포함된 다이옥신 종류는 검출되지 않았다.
* 다이옥신 토양평균농도 : 1.9(‘08년)/2.3pg-TEQ/g(‘09년)
ㅇ 고엽제 분석결과
∙ 성균관대에서 실시한 고엽제 분석결과 全시료에서 고엽제가 검출되지 않았다.
ㅇ 지난 6월 16일 부대 내 1곳의 심정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하수 수질검사 결과는 검사결과 다이옥신과 PCE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TCE는 기준 이내로 검출되었다.
(TCE 검사결과 : 0.002㎎/L, 환경기준 0.03㎎/L)
* TCE/PCE : 금속세정, 드라이크리닝 등에 사용되는 유기용제
ㅇ 결론적으로 분석결과 화학물질 매립으로 인한 토양오염 및 다이옥신,고엽제에 의한 오염이 있다고 볼만한 과학적 증거가 불충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ㅇ 공동조사단은 지역주민 의혹해소를 위하여 환경조사 및 시료 분석결과에 대하여 8월 8일 주민설명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ㅇ 또한, 주민측 조사위원들의 의견에 따라 토양조사항목 중 PCBs의 경우는 기준치 이내가 검출되었음에도 주민의혹의 해소를 위해 8월 10일 주민참관 하에 PCB가 검출된 지역 등 4개소를 굴착 조사할 계획이다.
* PCBs : Polychlorinated Biphenyls, 변압기 등에 함유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붙 임 : 토양 전항목 분석결과
<담당부서 : 국방부 시설기획환경과 ☎ 02-748-5810>
|
|
 |
 |
www.mnd.mil.kr/mndMedia/carryData/carryData_1/20110804/1_-16730.jsp?topMenuNo=1&leftNum=12&nSelectPa... |
 |
 |
 |
 |
 |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
 |
|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