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New Document

민주당 야권통합특위 위원장 기자간담회
이인영
정치외교연구센터 / 국내정치와 민주주의
참고자료
정책보고서
민주당
2011/07/10
이인영 야권통합특위 위원장 기자간담회



□ 일시: 2011년 7월 10일 오전 11시

□ 장소: 국회 당대표실



■ 우상호 야권통합특위 간사



지난 금요일 통합특위 첫 회의를 통해 민주당은 통합을 공식화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손학규 대표께서 참석하셔서 직접 통합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셔서 말씀하신 바 있다. 그 이전에 개별적으로 통합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 민주당 관계자들이 꽤 있었는데 통합특위논의는 공식적으로 민주당이 통합에 관한 구체적 행동을 시작했다는데 점에서 의미 부여를 부탁드리고, 오늘은 그런 차원에서 이인영 야권통합위원장께서 각 당에 구체적인 제안을 하는 자리다. 여러분께서 이 문제에 대한 민주당의 공식적인 제안을 잘 다뤄주시길 부탁드린다.



■ 이인영 야권통합특위 위원장



그동안 야권통합에 임하는 민주당의 기본입장이 레토릭 아니냐는 얘기도 있었다. 다시 확인해드리지만 레토릭이 아니라 진심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겠다.



2012년 총선, 대선은 향후 20-30년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하는 대회전의 성격이 있다. 사회학자들은 때문에 정초선거라고 이야기한다. 단순히 이정권과 한나라당에 대한 심판의 의미를 넘어서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정치질서를 구축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지난 특위 첫 회의 모두발언에서처럼 정책의 진보, 집권세력의 진보, 대한민국의 진보 세 가지를 동시에 새롭게 짜야 한다. 민주당은 민주진보대통합을 성사시킴에 있어 민주당의 주춧돌과 기둥을 빼고는 모든 면에서 열린 마음으로 임하겠다. 민주당이 가진 기득권은 다 뒤로 놓고 감당 가능한 최대한의 헌신하는 자세로 임하겠다.



지난번에 ‘통합은 대문을 여는 것이고, 연합은 쪽문을 여는 것이다’라고 말했더니 한 네티즌이 ‘대문을 여는 것을 넘어서 지붕을 여는 데까지 가라’라고 하셨다. 그렇게 하겠다. 사실 그동안 다양한 채널과 방식으로 진보정당에 있는 주요 인사들도 접촉하고 심도 있는 대화도 했다. 그렇지만 진보통합이 선행되고 있었고 그 움직임에 해방을 놓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 과정을 쭉 지켜봤다. 현재로써도 유동적인 상황들이 지속되고 있다. 이제는 수면 위에서 대통합논의를 공식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제 정당에 구성되어 있는 통합관련 특위위원장들이 모이는 통합특위 연석회의를 공식적으로 제안한다. 모든 가능성을 열고 대통합을 논의하겠다, 논의하는 자세로 임해줬으면 좋겠다는 부탁도 아울러 드린다.



민주당은 지난 4.27 재보선 때도 후보등록일전까지 단일화를 위해 김해 저희로서는 불리했던 여론조사 방식과 단일화 방식까지 수용한바 있다. 그것은 국민의 눈에 맞는 입각한 타임스케쥴을 가져가지 위해서였다. 민주당이 제시하는 통합관련 스케쥴을 10월 이내에 통합의 원칙, 과정, 방법에 관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 금년 내에 통합의 절차를 법적으로도 마무리하고 내년 1월, 2월 총선과 관련한 본격적인 준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야권통합에 참여할 주체는 민주당 뿐 아니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 진보정당을 포함해서 우리사회의 건강한 시민사회세력, 개별인사들까지 포괄하는 범위였으면 좋겠다. 지난 손학규 대표의 말씀처럼 야권대통합의 추진 원칙은 ‘화이부동’, ‘구동존이’의 원칙이다. 말 그대로 화목하게 지내지만 자기중심과 원칙을 잃지 않는다는 자세로 차이점은 인정하면서 같은점을 추구하는 태도로 야권대통합을 추진하겠다. 이 같은 원칙은 사실 6.2 지방선거와 4.27 재보선 때 선거연합을 실현하는 데서도 일관되게 견지되어 왔다. 그러나 4.27 재보선 결과에서 봤듯이 대립적 연대, 경쟁적 단일화는 국민에게 감동을 주지 못하고 승리하는 후보단일화를 이뤄내는 데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 ‘화이부동’, ‘구동존이’의 원칙은 야권의 대통합 정당에서 그대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특정정당과 세력으로의 흡수통합은 원칙적으로 불가하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제 정당은 통합의 대의와 원칙에 따라 하나의 정당으로 결집하되 당 내부에서는 자신의 고유한 정책성 등을 보장받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야권 대통합당의 정당 성격은 연합정당이 되어야 한다. 민주당은 정파등록제, 정파명부식 투표제 등 당내 정파와 세력의 정체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방안을 함께 놓고 토론하고 모색할 용의가 있다. 우선 제정당 통합특위 연석회의 구성에 주력하겠고 7월 13일은 야권대통합을 위한 토론회를 통합특위와 민주정책연구원이 공동으로 개최해서 이 같은 실질적인 방안들을 마련하기 위한 토론도 가지겠다.



■ 이인영 야권통합특위 위원장



추가로 저희가 야권통합 관련해 ‘대통합과 소통합 중에 어떤 것을 선호하시냐’는 여론조사를 한 적이 있는데 대체로 국민들 중 대통합을 지지하시는 국민 30.4%, 소통합을 지지하시는 국민 25.9%로 나온다. 그런데 무응답층과 야당을 지지하는 분들만 따로 조사해보니 대통합 38.6%, 소통합 27%로 더 늘어났다. 전체 야권 지지층에서는 대통합을 지지하는 분들이 훨씬 많은 것 같다.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분들이 응답을 할 때는 소통합이든 대통합이든 줄어들 수밖에 없지 않나. 하지만 야권과 무응답층을 따로 살쳐보니 대통합을 지지하는 분들이 확실히 늘어났다.



■ 우상호 야권통합특위 간사



800명 대상으로 밀도 있게 조사한 것으로 근거가 있으며, 보도자료로 정리해서 보내드리겠다.



2011년 7월 10일

민주당 대변인실
www.minjoo.kr/getPage/http://www.minjoo.kr/blog/7507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과 북한의 주체공업 추구
코리아연구원과 캄보디아 NICC 업무협약 체결
[유니칼라] 대립과 갈등의 시대 유니칼라가 가야할 길은?
서울의 일상에서 평화통일을 돌아보다!
서울-강화교동에서 평화 · 통일을 발견하다!
판문점선언의 시대정신 구현을 위한 시민강좌
판문점선언은 폭파되지 않았다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1박 2일 프로그램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북핵문제의 교착상태 진단과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전작권 환수,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 환경 조성이 관건
남북경협과 한반도 평화
유럽통합과 독일통일 연수에 초청합니다.
남북관계 개선 방안
평화와 번영의 북중러 삼각협력과 신북방정책: 남북관계에 따른 단계별 접근 방법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코리아연구원 : KNSI ) :::
개인정보보호정책 | 전자우편주소 무단수집거부 | 관리자에게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4길 20 맨하탄21오피스텔 608호   전화 : 02-733-3348   팩스 : 02-733-3358
Copyright 2005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