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제재의 결과는 아직 예측할 수 없지만 이번 사태를 통해서 아시아의 질서가 새롭게 재편되고 있다. 먼저 중국은 유엔 안보리의 이란제재에는 찬성했지만 미국의 이란제재에 대해서는 동참하지 않을 것이다. 중국은 미국의 외교정책에서 가장 강력한 경쟁국으로 등장하고 있다. 중국은 현재 이란의 최대 교역국이고 2004년 이후 이란의 에너지 개발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사활적인 에너지 안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란은 중국의 3번째 원유공급국으로 매우 중요한 전략국가이다. 또한 중국은 유엔 안보리의 이란제재에서 최대 수혜국이 되고 있다. 한국 건설업체들이 이란 플랜트 시장에서 철수할 경우, 중국이 대부분 차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터키는 유엔 안보리 이란제재 결의안에서 반대표를 던졌고 미국의 이란제재에 대해서도 반대하고 있다. 전통적인 친미국가 터키는 2000년 이후 유럽연합의 가입이 지지부진해지면서 기존의 일방적인 친 서구 정책에서 탈피하기 시작했다. 에르도안 정부는 2007년 총선 승리 이후 신중동정책을 표방하면서 이란과의 관계를 강화시켰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미국의 이란제재를 반대할 뿐만 아니라 이란과 에너지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이 사업은 이란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를 남아시아 국가로 공급하기 위해 2천 6백 km에 이르는 송유관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 사업은 1989년 이란에 의해 제안되었지만 미국의 반대와 인도-파키스탄 분쟁으로 실현되지 못했지만 2007년 11월 10일 이란과 파키스탄은 IPI 파이프라인, 소위 평화파이프라인 협정에 합의하면서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다. 지난 6월 14일 이란은 파키스탄에 천연가스를 수출하기 위한 70억 달러 규모의 '평화 가스관' 협약을 최종 승인했다. 이 가스관은 길이 1,000㎞ 규모로 약 907㎞는 이미 완공되었고 2015년 말부터 가스 수출이 시작된다.
반면에 한국과 일본은 미국의 이란제재에 동참하면서 이란의 보복이 예상되고 있다. 이란의 대응방식에 대해서는 아직 판단하기 어렵지만 한국 상품에 대한 과대한 관세 부과조치 등이 예상된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이란이 원유 공급을 중단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한국경제에 미치는 파장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 코리아연구원은 기획재정부에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2006-176호)로 선정되었으므로 연말정산 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