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New Document

판문점선언의 시대정신 구현을 위한 시민강좌 / 코리아연구원
제1강 7.21(화) 판문점선언은 파기된 것인가? - 판문점선언 2년을 돌아본다 == 강좌보기 == _...
판문점선언은 폭파되지 않았다 / 변진흥
4.27판문점선언으로 설치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2020년 6월 16일 오후 2시 50분에 북측에 의해 폭파되었다. 국내 언론은 이를 두고 “김정은, 판문점 선언을 폭파했다.”라고 전했다. 남...

      <총 게시물 : 7164 개>     
5394 "천안함 합조단의 '결정적 증거'는 조작됐다" 이승헌 2010/06/16
5393 참여연대의 안보리 서한 발송에 대한 마녀사냥식 탄압 중단과 천안함 사건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 제 시민사회단체 2010/06/16
5392 북한의 식량난과 대중국 의존 평화재단 2010/06/16
5391 간 나오토 내각의 과제와 전망 양기웅 2010/06/15
5390 천안함 관련 안보리 서한발송을 둘러싼 논란에 대한 참여연대의 입장 참여연대 2010/06/15
5389 "천안함 파손 부위, 선박과 충돌 증거" 통일뉴스 2010/06/15
5388 천안함 침몰에 대한 참여연대 입장(해외발송용) 참여연대 2010/06/14
5387 이명박 대통령 42차 라디오 방송 전문 이명박 2010/06/14
5386 북한방송 주요논조(6/14) 통일부 2010/06/14
5385 평통사-노둣돌 안보리 서한 한글 전문 통일뉴스 2010/06/14

[이전 10개][171][172][173][174][175][176][177][178][179][180][다음 10개]

1987년 민주주의로의 이행 이후 한국의 국내정치와 외교정책은 중요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국내정치적으로는 실질적 민주주의의 실현을 통한 사회통합의 구현, 국가 기구간의 효과적인 역할 분담과 견제·균형 원칙의 실현, 정체성이 분명한 정당의 생성·발전을 통한 무정형적인 정당체제 극복, 시민사회의 역량강화와 시민의 참여를 제도화할 수 있는 뉴거버넌스적 정책결정과정의 확대 등이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외교정책 면에서는 한미동맹의 미래지향적 재편, 남북관계의 개선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수립,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들과의 우호·협력관계 심화, 동아시아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을 위한 전략 수립 및 실시 등이 주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치외교연구센터는 세미나, 정책간담회, 학술회의 개최, 보고서, 기획진단, 현안진단, 연구서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 정치와 외교가 현재 당면하고 있는 주요 현안에 대해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실사구시적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장기적으로 새로운 국가전략을 수립·발전시키고 한반도의 민주주의와 평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과 북한의 주체공업 추구
코리아연구원과 캄보디아 NICC 업무협약 체결
[유니칼라] 대립과 갈등의 시대 유니칼라가 가야할 길은?
서울의 일상에서 평화통일을 돌아보다!
서울-강화교동에서 평화 · 통일을 발견하다!
판문점선언의 시대정신 구현을 위한 시민강좌
판문점선언은 폭파되지 않았다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1박 2일 프로그램
코리아연구원 강화도 평화·통일 학교
북핵문제의 교착상태 진단과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
전작권 환수,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 환경 조성이 관건
남북경협과 한반도 평화
유럽통합과 독일통일 연수에 초청합니다.
남북관계 개선 방안
평화와 번영의 북중러 삼각협력과 신북방정책: 남북관계에 따른 단계별 접근 방법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코리아연구원 : KNSI ) :::
개인정보보호정책 | 전자우편주소 무단수집거부 | 관리자에게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4길 20 맨하탄21오피스텔 608호   전화 : 02-733-3348   팩스 : 02-733-3358
Copyright 2005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