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ocument
|
|
 |
 |
2015년 격동하는 한반도와 미국[2015/02/04] |
새해 벽두부터 남북 정상회담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지난 2000년 정상회담과 2007년 정상회담 모두 한미관계와 북미관계가 좋아지면서 남북정상회담을 할 수 있었습니다. 2015년 한반도 정세를 전망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대외정책을 비롯하여 미중관계를 분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코리아연구원은 오마이뉴스와 공동으로 ‘2015년 격동하는 한반도와 미국’이라는 제목으로 5회 연속 글을 내보낼 예정입니다. 코리아연구원과 오마이뉴스의 신년 기획특집에 독자여러분들의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1] 미국의 미얀마 정책과 아세안의 포용정책 <박은홍,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2] 2015년 미중관계와 한반도 <차창훈, 부산대/미국 조지타운대 방문학자>
[3] 미국과 쿠바의 관계 정상화 추진 배경과 양국의 전략
<이정철, 숭실대/미국 조지워싱턴대 방문학자>
[4] 북한인권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서보혁,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인문한국 연구교수> |
|
|
 |
격동하는 동아시아와 한반도[2014/08/27] |
코리아연구원에서는 오마이뉴스와 공동으로 격동하는 동아시아 상황을 진단하고 우리의 나갈 길을 모색하는 특집을 연재할 예정입니다. 지금의 동아시아는 미국과 중국이 G2로 쟁패하는 가운데 일본과 북한이 접근하고 있으며, 한국은 중국과 경제협력관계를 심화시키고 있는 복잡하기만 한 상황입니다.
역사적으로 주변 정세의 변화는 한반도 내부 정세에 큰 충격과 변화를 안겨주었습니다. 한국의 국력은 과거 국제정세의 변화기에 비할 바 없이 성장하였습니다만, 국제정세의 변화에 대응하는 외교능력은 구한말과 다를 바 없을 정도로 무능한 모습입니다.
이에 현재의 국제정세를 조명하고 우리의 나아갈 바를 밝히기 위해서 앞으로 6번에 걸쳐서 기획특집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1] 북일관계 개선 전망과 아베의 야망 <박정진, 일본 쓰다주쿠대>
[2]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강화되는 극동정책 <윤성학, 고려대>
[3] 중국의 꿈 실현을 위한 중국외교전략과 한국의 대응 <주장환, 한신대>
[4] 워싱턴에서 살펴본 미국 동북아 전략의 속내 <이정철, 숭실대>
[5] 돌파구 모색을 위해 화전양면전략을 구사하는 김정은 체제 <장용훈, 연합뉴스>
[6] 한국, 미국MD 편입인가, KAMD인가? <김준형, 한동대> |
|
|
 |
북한 GNI에 대한 한국은행 통계의 의문점과 북한 경제 성장률 재론[2012/02/14] |
북한 경제가 지속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는 한국은행의 주장은 여러 가지로 추가 설명이 필요하고, 이를 인정하더라도 2011년에는 북한경제가 상당한 수준의 높은 플러스 성장을 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는 뒤집어보면 한국의 대북 제재인 5.24 제재 조치나 UN의 대북 제재 조치가 더 이상 유의미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
|
 |
|
 |
|
::: 코리아연구원 (KNSI : 새로운 코리아구상을 위한 연구원) :::
New Document
|